[K-MOOC 홍보모니터링] 라이프디자인씽킹 직업편 09 천문학자

강성주 천문학 박사=현재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우주팀에서 연구사로 활동 중인 천문학자는 우주 전체를 다루는 직업이다.천문학자들은 우주에 있는 모든 현상, 그리고 그 안에 있는 물리학 법칙이라든지 또는 여러 법칙을 밝혀내며 우리가 가지고 있는 궁극적인 질문, 그리고 호기심을 하나하나 과학적으로 수학적으로 관측적으로 파고들어 그 진실을 향해 다가가는 직업이라고 한다.

어릴 때 우주가 좋아하고 천문학자가 되겠다고 결심했다.O. 어릴 때 보이저 2호가 목성과 토성을 지나가면서 보냈고 다른 사진, 당시는 보지 못한 고화질의 사진을 책으로 엮은 음반이 있었습니다. 어디서나 보지 못한 아름다운 목성과 토성 태양계 행성의 모습을 보면서 정말 그 때부터 우주가 정말 신비로운 장소인데 여기는 어떤 곳인지 궁금해서 그 이듬해 아버지가 다시 천체 망원경을 사다 주며 나는 정말 우주를 좋아한다, 그래서 천문학자가 되는 꿈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우리 나라에는 천문학자의 수가 적다. x우리 나라에는 천문학자가 정말 엄청나게 많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연구소에서는 대학이나 한 기업에서 우주를 연구하는 사람을 천문학자라고 생각하지만 우리가 아는 모든 자연계 공학계 인문 계열을 통틀어도 아마추어라는 수식어를 가진 전문직은 아마추어 천문학자가 거의 유일하다고 생각합니다.아마추어 천문학자는 전국에 매우 많은 분이 계시고, 그래도 정말 직업적인 천문학자가 많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은 그리 많은 편은 아닙니다. 전문적으로 천문학자라고 할 수 있는 방법은 500여명도 안 된다고 듣고 있습니다. 아마추어 천문학자:별이 좋아하고 또는 하늘을 좋아하고 별을 보기 때문에 천체 사진을 찍으러 가거나 일식과 월식의 다양한 천문 현상을 도와서 천문 현상을 보려고 다른 나라에 가거나 전 지구를 돌고 다양한 여행을 천문학에 따라서 여행하는 모든 분들은 아마추어 천문학자 직업적 천문학자:천문학 연구를 통해서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하고 직접적으로 자신이 연구하는 천문학에 관한 다양한 내용이 전체적으로 천문학계에서 논문을 출판하거나 연구 성과를 내고 천문학적인 발전시키는

천문학자라는 직업은 취업난이 심한 ○ 사실 한국에서 전문적으로 천문학을 연구할 곳은 많지 않다. 대학에서는 약 10의 대학 기관이 있고 한국 천문 연구원 대표적인 기관이 국립 과천 과학관과 여러가지 과학관, 사설 천문대, 국립 천문대 등에서 일하시는 분도 많이 있지만, 천문대, 과학관 등에서 일하고자 하는 분은 정말 많이 계십니다. 또는 직업적으로 박사학기 또는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전문적으로 천문학을 연구하기 위해서 지원하려는 자리는 생각보다 국내에는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천문학자는 낭만을 쫓는 가난한 직업이다.X뿐 지금은 누구보다도 전문적이고 매우 높은 관측 장비를 다시 충분한 연구비와 많은 월급을 받아 좋은 직업으로 드릴 수 있다. 사실 우리가 지금 많이 이뤄지는 누리호 개발이나, 다느리오 달 탐사나 또는 외국에서 열리고 공간 x를 이용한 스타 링크나 화성에 가겠다는 원대한 계획이 조금 전에 있었죠. 아르테미스 발사 성공에 의해서 사실은 우주 탐사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커진 것은 사실이다.

천문학자의 가장 중요한 역량은 관측이다. x.물리학자에게도 이론 물리학자가 있고 실험 물리학자가 있는 것처럼 천문학자에게도 이론 천문학자가 있으며 관측 천문학자가 있습니다.이론 천문학자의 경우 여러 물리학의 법칙에 근거하여 블랙 홀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예측적으로 예측하고 그동안 관측된 데이터나 가정하고 이런 일이 벌어질 것이라는 이론을 쌓고 있는데, 관측 천문학자는 그 이론을 검증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좋을까요. 물론 상호 보완적이고 이론을 세울 때 그 이론이 검증되려면 관측이 필요하다 이해할 수 없는 관측적인 현상이 발생했을 때,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론 천문학자의 역할도 필요합니다만, 제 생각에는 천문학자의 가장 중요한 역량은 관측보다는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다룰지 코딩 능력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천문학자는 별자리를 전부 외우고 있다.X천문학자에게는 관측의 대상이 아니고 관측을 하다라는 관측 대상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별자리입니까. 심·치에교은 박사도 산문집을 편하게 했지만 그 수필집의 제목은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 네, 제가 과학 커뮤니케이터로서 활동할 때 사용 활동 이름이 항성입니다. 별은 항성입니다. 별은 직업적인 천문학자이기에 어느 분들에게는 낭만적인 존재인지도 모르고 어떤 분들에게는 의문과 호기심의 대상일지도 모르지만, 나에게 별은 우주를 이루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라고 생각합니다.

천문학자들의 가장 중요한 역량은 관측이다.x.물리학자에게도 이론물리학자가 있고 실험물리학자가 있듯이 천문학자에게도 이론천문학자가 있고 관측천문학자가 있습니다.이론 천문학자들의 경우 여러 물리학 법칙에 근거하여 블랙홀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예측적으로 예측해서 지금까지 관측된 데이터나 가정을 통해서 이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는 이론을 쌓고 있는데 관측 천문학자들은 그 이론을 검증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상호 보완적이고 이론을 세웠을 때 그 이론이 검증되기 위해서는 관측이 필요하고 이해할 수 없는 관측적인 현상이 발생했을 때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론 천문학자의 역할도 필요하지만 제 생각에 천문학자의 가장 중요한 역량은 관측이라기보다는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다루는지 코딩 능력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천문학자들은 별자리를 모두 기억하고 있다.X 천문학자들에게는 관측의 대상이 아니라 관측을 하고자 하는 관측 대상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별자리입니다. 심채경 박사도 에세이집을 편하게 했는데 그 에세이집 제목은 천문학자들은 별을 안 본다네, 제가 과학 커뮤니케이터로 활동할 때 쓰는 활동명이 항성이거든요. 별은 항성입니다. 별은 직업적인 천문학자이기 때문에 어떤 분들에게는 낭만적인 존재일 수도 있고 어떤 분들에게는 의문과 호기심의 대상일 수도 있지만 저에게 별은 우주를 이루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라고 생각합니다.

천문학자는 우주인이나 ufo의 존재를 믿지 않는 x우주인의 존재는 믿습니다. 우주인 하면 더 구체적으로 모두 우주 생명체의 존재는 나는 믿고 있습니다. ufo란 한글로 번역했을 때는 미확인 비행 물체이므로 ufo는 왠지 그 정체가 당연히 알지 못한 상태로 남아 있지 않으면 ufo요.그러나 만약 이 ufo가 우주인이 타고 온 우주선을 의미한다면, 나는 믿지 않습니다. 천문학자라는 직업 활동 범위는 국내에서 점차 확대할 것이다. O과거와는 달리 좀 더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단순히 이런 것이 있어.아이·제임스·에 우주 환경이 촬영한 사진이 아주 훌륭한 사진이고 저는 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천문학과 관련한 과학 커뮤니케이터 언론과 공공 방송 뉴스 등에서도 제임스와 우주 환경에 대해서 매우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이전과는 조금 다른 대중의 관심을 바탕으로 천문학의 영역에 들어오려는 사람은 많다고 생각합니다. 천문학이 단순히 전문적인 연구를 하는 직종뿐 아니라 다양한 범위로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생각하며 단순히 자신의 연구만 할 관심 있는 연구만 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과 호흡할 수 있는 분야에 점점 확장된 게 아닌가 싶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